본문 바로가기

건축사사무소10

건축사 무자격 업체 단속 강화 최근에 건축사 협회로 받은 메일을 확인해보니 무자격업체의 불법에 대한 주의와 제보를 장려하는 공문이 있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협회에서 고발받은 업체들과 그리고 대응 현황이 담겨 있었다. 나는 사실 건축사들이 대한 건축사협회에 정회원 가입이 의무가 되는 순간 무자격 업체에 대한 단속이 어느정도 시작 될 것이라고 예상은 하고 있었다. [ 건축사 등록원 KARB 등록건축사 조회 ] [ 대한건축사 협회 등록회원 검색 ] 이전의 경우 건축사 자격증이 있더라도 건축사 협회에 가입을 하지 안은 회원들도 꽤 있었기 때문에 협회 등록건축사 검색 이 의미가 없었기 때문에 무자격 업체에 대한 검색이 쉽지 안았던 것이다. 그런데 협회측 대응현황을 보면 조금 아쉬운 감도 있다. 결국 건축사 자격증이 없는 사람들이 건축사 사무소.. 2023. 11. 29.
왜 건축사사무소를 수원에서 개업 했을까? 이전에 알고 있던 사람들이나 유튜브를 통해서 나를 알게 된 사람들과 오프라인에서 만나면 많은 분들이 물어보는 것 중에 하나가 왜 건축사사무소를 경기도 수원에서 개업을 한 것이냐는 것이다. 서울에서 계신 분들은 서울에서 왜 하지 않냐고 그러고, 고향에 있는 사람들은 왜 고향인 창원에 개업을 하지 않고 전~~~~~~혀 연고도 없는 수원에서 왜? 라는 반응이다. 사실 그런 질문을 하는 이유는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인맥과 학연지연이 정말 중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실 수원에 건축사사무소를 개업한 이유는 딱히 없다. 정말 어쩌다 보니 한국에 들어와 수원에 일자리를 얻었고, 그리고 집 계약을 2년을 했는데, 그 사이에 건축사 자격증을 취득을 하게 되었고, 우연히 산책을 하는 길에 집 앞에 빈 사무실이 보이길래 작업.. 2023. 9. 14.
한국생활 적응기 [011] - 취미같은 회사생활 요즘은 사무실에 필요한 것들을 하나하나 채워가는데 푹 빠져 있다. 최근에는 모션 데스크와 에르고 3D 체어를 구매 했는데 확실히 몸이 편하니 일하는 재미도 있다. 모션 데스크의 경우 움직임이 부드럽기 때문에 책상위에 마실 것들이 있다고 해도 전혀 위험하지 않다는 것이다. 아무튼 하나를 사더라도 좀 신중하게 사려는 성격 때문인지.. 사실 사무실 인테리어 완성은 과연 언제쯤이 될지 모르겠다. 언제나 진행중.............. 2023. 6. 20.
2020년 결산 그리고 인센티브.. 연봉인상 딱히 보잘것없는 능력인데 독일에서 아무튼 힘이 닫는데 까지 열심히 해보자라는 생각으로 살았다. 나를 고용해준 소장님께 고마운 마음도 있고 타인에게 누를 끼치고 싶은 생각은 없기 때문에 내 밥그릇은 하자라는 생각이 큰 거 같다. 그리고 아시아인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고 싶은 것도 있었다. 아무튼 이렇게 살다 보면 주변에서 독일까지 와서 왜 한국사람처럼 일하냐는 주변 사람들도 있지만.. 딱히 그런 이야기에 공감이 가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나는 회사를 위해서 일을 하는 게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해서 일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내 나이가 36세.. 전문직에 40세가 되었을 때는 내가 하는 전문성에 확신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아직까지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이 너무나 부족하기 때문에 더 많이.. 그.. 2020. 11. 22.